본문 바로가기

Health & Wealth

당뇨병, 비장, 위장, 신장에 좋은 찰좁쌀의 효능

좁쌀은 오곡의 하나로서 비장을 건실하게 하고 위장을 조화롭게 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뱃속을 부드럽게 조화시켜주고 장을 부드럽게 하여 구토·설사·이질을 치료합니다. 좁쌀은 서늘한 성질로서 비·위장에 쌓인 열을 없애주는데, 특히 묵은 좁쌀은 찬 성질이므로 위장의 열을 없애주어 소갈消渴: 위장과 대장에 열이 많은 것이 주된 원인으로, 당뇨병이 여기에 해당됨을 치료합니다. 그러니 당뇨병으로 입이 마르는 환자는 쌀밥 대신 묵은 조밥이나 보리밥·팥밥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좁쌀은 오장 중에 신장의 곡식입니다. 신장병에는 좁쌀을 먹으라고 하는데,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이 있어 신장의 나쁜 기운을 배설시키기 때문이지요. 또한 기운을 돕는 작용이 있는데, 특히 신장의 기를 길러줍니다. 좁쌀로 죽을 끓여 먹으면 단전의 기운을 돕고 허약한 것을 보충하며 입맛을 좋게 하지요. 평소 기력이 쇠약하거나 산후에 몸이 허약한 경우에는 좁쌀에 대추를 넣고 죽을 쑤어 먹으면 좋습니다.

왕의 보양식에 들어가던 좁쌀

내의원에서 왕의 보양식으로 처방했던 인삼속미음人蔘粟米飮이 있습니다. 찬 성질인 좁쌀과 따뜻한 성질인 인삼을 조화시킨 것으로, 물을 많이 붓고 푹 끓여서 체에 내렸으므로 죽보다도 묽지요.

이는 주로 상례와 제례 기간에 처방되었습니다. 국상을 당했을 때나 제사를 앞두면 왕의 심신이 여느 때보다 상하기 마련인데, 그때 심신의 조화와 균형을 유지하고 피로와 스트레스로 인한 질병을 예방하려고 했던 것이지요. 사실 상례나 제례 기간에 왕은 애도의 표시로 육식을 삼가고 반찬의 가짓수를 줄이는 등 음식을 줄였는데, 그 와중에 왕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희멀건 미음이지만 몸을 보충하는 음식을 처방했던 것입니다.

한편 속미죽은 미음보다 물을 적게 하여 죽을 끓인 것으로, 노인의 비·위장이 약하여 음식을 먹지 못해 점점 말라갈 때 처방합니다.

<연관글 더보기>

위염에 좋은 음식 현미찹쌀의 효능과 약효, 부작용

 

위염에 좋은 음식 현미찹쌀의 효능과 약효, 부작용

찰밥을 먹으면 속이 든든한 느낌이 들지 않던가요? 먼 길을 떠나는 사람에게 힘내라고 해주는 음식이 바로 찰밥이지요. 특히 찹쌀 인절미는 간편하면서도 속을 편하게 해주기 때문에 아침 식사

kimgongboo.tistory.com

오곡 중 최고인 쌀의 효능과 약효 (동맥경화 당뇨병에 좋은 음식 현미 죽)

 

오곡 중 최고인 쌀의 효능과 약효 (동맥경화 당뇨병에 좋은 음식 현미 죽)

1981년 이후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엄청나게 줄고 있습니다. 2017년에는 61.8kg으로 1988년의 122.2kg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김소운 선생의 수필에 나온 ‘왕후의 밥’처럼 윤기

kimgongboo.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