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ealth & Wealth

위염에 좋은 음식 현미찹쌀의 효능과 약효, 부작용

찰밥을 먹으면 속이 든든한 느낌이 들지 않던가요? 먼 길을 떠나는 사람에게 힘내라고 해주는 음식이 바로 찰밥이지요. 특히 찹쌀 인절미는 간편하면서도 속을 편하게 해주기 때문에 아침 식사 대용으로 먹는 사람이 꽤 많습니다.

찹쌀은 선천적으로 기운이 허약하거나 냉하고 허약한 폐를 보강해주는 효능이 있습니다. 그래서 기운이 허약하여 저절로 땀이 흘러내리는 것을 거두어주는 효능이 있어 중병을 앓고 난 환자의 회복식으로도 좋습니다. 그리고 기와 혈을 보충해주는 약에 넣어 먹으면 약효가 더욱 좋아집니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삼계탕이지요. 물론 몸이 냉한 체질에 적합합니다. 그리고 소변이 잦은 것을 줄여주고, 설사를 멎게 하는 효능도 큽니다.

위장병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되는 찹쌀

찹쌀에 위 점막을 보호하는 기능이 뛰어난 프롤라민prolamin이라는 물질이 많이 들어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멥쌀 등의 다른 곡식에도 프롤라민이 들어 있지만 위염과 위궤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효과는 찹쌀에 크게 미치지 못하거나 아예 효과가 없다고 합니다. 2008년 한국식품과학회에 “찹쌀의 프롤라민 성분이 위염·위궤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연구팀이 2cm 크기의 소화성 위궤양이 있는 사람에게 찹쌀 추출물을 4주 동안 섭취하게 한 결과 위궤양이 거의 치료됐다고 합니다. 찹쌀 추출물을 먹기 전에 내시경으로 위를 들여다봤을 때는 백태가 낀 상태의 위궤양이 선명하게 나타났지만, 11주 동안 섭취했을 경우에는 완치되어 위궤양의 흔적만 보였다는 것이지요. 찹쌀 추출물은 위장의 점액 단백질 분비를 촉진시켜 위장벽을 보호합니다.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이 같은 치료 효과가 입증되었는데, 찹쌀 추출물을 먹은 쥐의 위에서는 그렇지 않은 쥐보다 50% 이상 더 많은 위 점액 단백질이 나왔다고 합니다. 위 점막 내의 항산화 기능도 찹쌀 추출물을 먹은 쥐가 그렇지 않은 쥐보다 30% 가까이 더 높았습니다.

기존 위궤양 치료 약품의 경우 장기 복용할 경우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지만, 찹쌀 추출물은 곡물로서 오랫동안 인류가 섭취했기 때문에 그런 부작용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던 것입니다.

찹쌀의 약효

찹쌀은 멥쌀에 비해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비·위장이 차서 소화가 잘되지 않는 사람들에게 아주 좋습니다. 선천적으로 기운이 허약하거나 폐가 차고 허약한 것을 보강해주고 오랜 설사를 멎게 하며 잦은 소변을 줄이고 기운이 허약하여 저절로 땀이 흘러내리는 것을 거두어주는 효능이 있어 기와 혈을 보해주는 약에 넣어 먹으면 약효가 더욱 좋아집니다. 물론 몸이 냉한 체질인 소음인에게 적합합니다.

그 외 찹쌀의 효능

찹쌀은 임신부에게 참 좋은 약이 됩니다. 태를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있기 때문이지요. 태아가 빈번하게 요동하여 임신부의 배가 아프고 아래로 뻗쳐 내려오는 느낌이 있는 것을 태동胎動이라 하고 심하면 출혈이 보이는 병증을 태루胎漏라고 하는데, 잘못하면 유산이 될 수 있습니다. 이때 황기와 천궁 등의 한약재와 찹쌀을 함께 달여 먹이면 유산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물론 태동·태루를 치료하는 한약 처방에는 찹쌀을 한 숟가락씩 넣습니다.

찹쌀이 소화되지 않고 체하는 이유는?

찹쌀을 먹으면 소화가 잘된다는 사람도 있지만 소화가 되지 않고 잘 체한다는 사람도 있습니다. 찹쌀은 기운이 허약한 것을 보강하고 저절로 땀이 흘러내리는 것을 막아줄 뿐만 아니라 잦은 소변을 줄여주고 설사를 막아주며, 임신부의 태胎가 떨어지려는 것을 방지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특히 몸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어하는 효능, 아래로 처지는 것을 막아주는 효능이 탁월하지요.

소화는 위에서 아래로 내려와야 하는데 찹쌀은 막아주므로 방해가 되기 때문이지요. 게다가 끈끈한 성질이어서 체하기 쉽습니다.

찹쌀은 어떤 경우에 부적합할까?

찹쌀은 끈끈하고 체하기 쉬우며 소화가 힘들므로 많이 먹어서는 안 됩니다. 찹쌀은 열성이므로 몸이 냉하거나 냉하지도 열하지도 않은 사람의 경우에 소화를 잘되게 해줍니다. 위염이나 위궤양에도 효과를 볼 수 있으나, 몸에 열이 많은 사람에게는 오히려 열을 일으켜 좋지 않습니다.

특히 찹쌀은 환자에게 이롭지 않습니다. 환자는 주로 실내에서 누워 있거나 앉아 있고 움직임이 적으므로 기의 소통이 원활하지 못한 상태인데, 찹쌀을 많이 먹으면 기가 막히기가 쉬워지기 때문이지요. 특히 몸에 담열痰熱이 있어 풍병이 들었거나 위장병으로 소화·흡수에 장애가 있는 사람이 먹으면 뱃속에 덩어리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누워서 찰떡 먹기”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며, 실제로 찰떡을 먹고 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연관글>

당뇨병, 비장, 위장, 신장에 좋은 찰좁쌀의 효능

 

당뇨병, 비장, 위장, 신장에 좋은 찰좁쌀의 효능

좁쌀은 오곡의 하나로서 비장을 건실하게 하고 위장을 조화롭게 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뱃속을 부드럽게 조화시켜주고 장을 부드럽게 하여 구토·설사·이질을 치료합니다. 좁쌀은 서늘한 성질

kimgongboo.tistory.com

오곡 중 최고인 쌀의 효능과 약효 (동맥경화 당뇨병에 좋은 음식 현미 죽)

 

오곡 중 최고인 쌀의 효능과 약효 (동맥경화 당뇨병에 좋은 음식 현미 죽)

1981년 이후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엄청나게 줄고 있습니다. 2017년에는 61.8kg으로 1988년의 122.2kg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김소운 선생의 수필에 나온 ‘왕후의 밥’처럼 윤기

kimgongboo.tistory.com